#001

안녕하세요.

저희는 캡스톤디자인(2)를 수강하고 있는 고하영, 이상윤, 설지환으로 구성된 팀 ses입니다.

지금부터 소리 기반 검색 서비스인 AULO에 대한 발표 시작하겠습니다.

#002

혹시 여기서 유튜브 숏츠, 인스타 릴스 등 숏폼을 경험해보지 못한 학생분들이 있으신가요?

아마 대부분의 학생분들이 경험 해보셨으리라 생각됩니다.

최근 숏폼이 등장하게 되면서 틱톡은 누적 다운로드 수 35억건을 기록하였고

유튜브는 2021년 숏츠가 등장하며 계속해서 1인 사용 시간이 증가하다 올해 2024년 1월에는 40시간인 역대 사용시간을 기록하며 숏폼 컨텐츠로 영상 매체들은 제2의 전성기를 맞이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영상 제작 수요 또한 증가하였고, 컨텐츠를 만드는 크리에이터는 소비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킬 수 있는 컨텐츠를 생산해내기 위해 주력하고 있는데, 특히 숏폼의 경우 10초에서 15초로 짧기 때문에 시청각적인 자료를 적재적소에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에 저희는 영상 제작 경험이 있는 사람들에게 인터뷰를 진행해보았는데요, 그 과정에서 영상 제작 시 특히 효과음 검색에 있어 불편함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003

공통적인 문제는 총 3가지로 볼 수 있었는데,

첫번째는 추상적인 효과음을 직접적으로 검색이 불가능하다는 것이었습니다.

기존 존재하는 효과음 플랫폼의 경우 텍스트 기반의 검색에 의존하고 있고, 때문에 단번에 검색이 안되고, 원하는 효과음을 찾기까지 비용이 상당히 든다는 점이었습니다.

두번째는 유튜브 영상을 보다 “어 이 효과음 나도 사용해보고 싶다”라는 생각이 들지만, 머리로는 알아도 말로 설명이 힘들기도 하고, 검색을 해도 원하는 효과음이 아닌 경우가 많았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인터넷에서 다운을 받기 때문에 이상한 파일이나 원치 않는 형식의 파일을 다운받는 경우도 종종 경험을 해보았다고 합니다.

따라서 저희 SES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가능한 서비스를 만들게 된 계기가 되었습니다.

#004

기존 존재하는 서비스와의 차별점 분석을 위해 경쟁사 분석 및 벤치마킹을 진행하였습니다.